KT, 노인 돌봄 로봇 출시해 독거 어르신 AI 감성 케어 시대 개막

글로벌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최근 반도체,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R&D 투자가 증가했으나, 자금과 인력 부족으로 실효성 있는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첫째,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30% 이상 개선한 A사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IoT와 AI 기술을 접목해 공정 오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품질 관리를 자동화한 결과다. 둘째, 중소기업 간 협업을 통한 기술 공유 플랫폼이 도입되어 특허 출원 건수가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 지원 프로그램의 접근성 문제를 지적한다. 복잡한 절차와 장기간의 심사 기간으로 실제 수혜를 보는 기업은 제한적이다. 전문가들은 "민간 전문가 컨설팅 연계를 통해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미중 무역 갈등과 유럽 에너지 위기로 기존 공급망 의존도 높은 중소기업의 리스크가 증가하고 있다. 동남아와 인도 시장 진출을 확대하는 동시에 북미·유럽 고객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B사는 베트남 현지 파트너와 합작법인을 설개해 생산 기반을 이전했으며, 이를 통해 관세 부담을 20% 절감했다. C사는 ESG 경영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유럽 바이어와 5년 장기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냈다.
다만, 현지 법률 및 문화 차이로 인한 진출 실패 사례도 적지 않다. 중소벤처기업부는 "해외 시장별 리스크 리포트를 제공하고, 현지 네트워킹 행사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24년 중소기업 수출 지원 예산을 1조 2,000억 원으로 확대했다. 주력 분야는 디지털 마케팅, 해외 인증 획득, 물류 비용 지원 등이다. 그러나 기업들은 지원금 신청 절차의 복잡성과 지연된 심사 결과를 주요 문제로 꼽는다.
D사는 수출 보험 지원을 받기 위해 6개월 이상 기다린 끝에 시장 진출 기회를 놓쳤다. 이에 대해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온라인 신청 시스템을 개편하고, 심사 기간을 2개월 이내로 단축하겠다"고 발표했다.
효과적인 정책 실행을 위해서는 ▲민간 전문가의 정책 설계 참여 ▲지원 대상 선정 시 현장 의견 반영 ▲성과 평가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경쟁 심화 속에서 한국 중소기업의 생존을 위해서는 기술 혁신, 시장 다각화, 정부 정책의 실효성 제고가 선결 과제다. 기업은 현장 중심의 전략을 수립하고, 정부는 제도적 장벽을 해소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향후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성공 사례를 발굴해 모범 사례를 공유하고, 정책 수요자 맞춤형 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수출 관련 최신 정보는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와 KOTRA 해외시장뉴스를 참고할 것을 권장한다.